비트코인캐시, 이더리움 클래식, 비트코인에이비씨
이런 코인들은 정체가 뭘까요?
비트코인도 아니면서 이름이 비트코인을 쓰고 있네?
이더리움도 아니면서 이더리움 클래식이라고 하니 뭔가 더 있어보입니다.
여기서 하드 포크라는 개념과 소프트포크 라는 개념이 나옵니다. (소프트 포크는 다음에 설명할게유)
포크라는 뜻은 업데이트 및 복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블록체인 특성상 기존 노드(서버)에 새로운 규칙을 추가할 때 복사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복사한 시점에서 원본과 새로운 규칙을 추가한 복사본이 다른길을 걷게 됩니다.
이 복사하는 시점을 '포크한다(fork)' 라고 합니다.
하드 포크는 코인 자체가 나뉘어 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이더리움을 예를 들면, 이더리움은 2016년 7월 '다오 해킹 사건'으로 공격 받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더리움에서는 해킹을 방지하기 위해 새로운 규칙을 추가한 하드 포크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새로운 업데이트 된 이더리움은 현재까지 이더리움으로 불리고 있고
기존에 있던 Old버전의 이더리움은 '이더리움 클래식'으로 명명하여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현재 이더리움 본연의 비전을 고수한다는 지지자들에 의해 서버가 유지 되어 오고 있습니다.
'Blockchain & Cryp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으로 이자를 받아보자. 스테이킹이란? (0) | 2021.08.29 |
---|---|
PoW(채굴증명식) vs PoS(지분증명) 의 차이점 (0) | 2021.08.26 |
카르다노 에이다 요로이 지갑 스테이킹 하기! 젬블 스테이크 풀 (1) | 2021.08.18 |